옛날 속담 ‘낫 놓고 ㄱ자도 모른다.’라는 말은 언문 28자 중에서도 매우 쉽고 간단한 글자인 ㄱ자도 알아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 글자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아는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이 속담에 나오는 ‘ㄱ’ 자에 대해 ‘기역’이란 이름을 붙인 사람이 누구인가를 물어보았더니, 응답자 대다수는 약속이나 한 듯이 세종대왕이라고 스스럼없이 대답하는 걸 보았다.
또한,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모음의 차례 즉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는 누가, 왜 그렇게 배열했느냐고 물어보니 이 또한 세종대왕이 아니냐고 반문하였다. 이처럼 대부분 사람이 오해하고 있다.
이에 언문의 자모(字母)에 대한 이름과 그 순서에 대하여 간략히 적어 본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자음 이름을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글자 이름은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당시에도 그렇게 불렀을까? 그렇지 않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한 ‘훈민정음해례본’ 어디에도 자모의 명칭에 대해 명시하거나 설명한 대목을 찾을 수 없다.
‘훈민정음해례’에는, “‘자음’은 발음기관을 본뜨고 ‘모음’은 천지인 삼재(三才)에 바탕을 두어 창제하였다.”라고 하고, 나아가 스물여덟 글자마다 철학적 의미까지 덧붙이는 치밀함을 보이면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이 각각의 글자를 가리키는 이름을 짓지 않았을 리는 없을 것이다.
훈민정음해례에는 ‘ㄱ’의 소릿값을 설명하면서 ‘ㄱ如君字初發聲(여군자초발성)’이라 기록되어 있고, 이를 번역한 언해본에는 ‘ㄱ 어금닛소리니 군(君)자 처음 피어나는 소리니라’ 고 적혀 있을 뿐이다. 곧 ‘ㄱ’은 ‘君’ 자를 발음할 때 나는 첫소리와 같다는 말이다. ㄱ의 음가(소릿값)를 알려줄 뿐 ㄱ의 이름 자체는 나타내지 않고 있다.
그러면 당시에는 ㄱ을 무어라고 불렀을까? 이에 답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 ‘훈몽자회(訓蒙字會)’라는 책이다. ‘훈몽자회’는 1527년(중종 22)에 최세진이 한자 학습서로 편찬한 책이다. 그는 당시의 한자 학습서인 ‘천자문’이나 ‘유합(類合)’ 등의 내용이 경험 세계와 직결되어 있지 않음을 비판하고, 새·짐승·풀·나무의 이름을 나타내는 글자를 위주로 4자씩 종류별로 묶어 ‘훈몽자회’를 편찬하였는데, 상·중·하 3권에 총 3360자의 한자를 수록하였다.
한자의 글자마다 언문으로 음과 뜻을 달았는데, 책머리에 언문에 대한 해설을 싣고 있다. 이것은 훈민정음과 그 시대의 국어를 연구하는데 매우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훈몽자회’의 ‘언문자모(諺文字母)’라는 항목에는 ‘속소위반절이십칠자(俗所謂反切二十七字)’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훈민정음이 27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뜻이다. 반절은 훈민정음의 자모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세종이 만들 때는 28자였는데 ‘ㆆ’ 한 자가 없어진 것이다. 이어서 그는 훈민정음 자모의 이름은 한자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그 쓰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ㄱ(其役) ㄴ(尼隱) ㄷ(池末) ㄹ(梨乙) ㅁ(眉音) ㅂ(非邑) ㅅ(時衣) ㆁ(異凝)
ㅋ(箕) ㅌ(治) ㅍ(皮) ㅈ(之) ㅊ(齒) ㅿ(而) ㅇ(伊) ㅎ(屎)
ㅏ(阿) ㅑ(也) ㅓ(於) ㅕ(余) ㅗ(吾) ㅛ(要) ㅜ(牛) ㅠ(由) ㅡ(應 不用終聲) ㅣ(伊) ㆍ(思 不用初聲)
ㄷ(池末)의 末자는 ‘귿’이라는 음의 한자가 없으므로, 末(끝 말)의 음 대신 훈을 취하여 ‘귿(끝의 옛날식 표기)’을 취하여 ‘디귿’이라고 하였고, 역시 ㅅ(時衣)의 衣자도 ‘옷’이라는 음을 가진 한자가 없으므로 衣(옷 의)의 음 대신 ‘옷’이라는 훈을 취하여 ‘시옷’으로 적은 것이다.
초성과 종성에 통용하여 쓰는 여덟 글자[初終聲通用八字]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초성에만 쓰이는 여덟 글자[初聲獨用八字] :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중성에만 홀로 쓰이는 열한 자[中聲獨用十一字]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지금은 모든 자음을 초성과 종성에 다 사용하고 있으나, 당시에는 ‘ㅋ ㅌ ㅍ ㅈ ㅊ ㅇ ㅎ’ 등은 초성에서만 쓸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래서 초성과 종성에 통용하여 쓰이는 자음 여덟 글자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은 其役(기역), 尼隱(니은) 등과 같이 두 글자의 한자로 이름을 표기하고, 초성에만 쓰이는 여덟 글자인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은 箕[키], 治[티] 등과 같이, 한 글자의 한자로 표기하였다.
그 연유는 초성에서만 쓰는 글자는 하나의 음가만 표시하면 되지만, 초성과 종성에 함께 쓸 수 있는 글자는 초성에서 나는 음가와 종성에서 나는 음가를 아울러 나타내야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ㄴ’의 글자 이름 尼隱(니은)의 경우, 尼는 ㄴ의 첫소리 값을 나타내고, 隱은 ㄴ의 끝소리 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ㅍ’의 글자 이름 皮(피)의 경우, 초성에 쓰이는 ㅍ 하나의 음가만 나타내면 되기 때문에 하나의 글자로만 표시한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초성에만 쓰이는 8개 글자는 하나의 글자로 소릿값만 나타내고, 초성과 종성에 함께 쓰이는 8개 글자는 초성과 종성, 두 개의 소릿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두 개의 글자로 나타낸 것이다.
우리는 세종이라는 성군이 만들어 주신 훈민정음 때문에 자모음 28자의 조합능력으로 21세기 최첨단의 정보화 시대를 앞서가고 있다. 이렇듯 훈민정음은 가장 과학적인 문자로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은 누구나 잘 알고 있고, 훈민정음이 가져다주는 커다란 복을 누리고 있으면서도 잃어버린 네 글자를 찾을 생각도 하지 않을뿐더러 정작 훈민정음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면서 글을 맺는다.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박 재 성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경기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